10년전에 치엔으로 메모리 주소 얻어서 C++로 리딩 구현하고
리드된걸 기반으로 매크로 짜거나 메모리 변조같은거 해본경험이있는데
치트 닷컴이라고 있는지 도 몰랐는데 메랜하다가 지겨워서 못해먹겠어서 손사냥 그만하려고함
보니까 스크립트 얘기 많던데 Lua 스크립트??같은거 쓰는거같던데
스크립트언어면 오토핫키 마냥 특정되는 기능들이 많아서 오토벤 잘걸릴거같은데 왜 쓰는지??
그리고 용어들도 너무 다양하고... 요즘은 어떤식으로 메모리 가져오고 변조하는지 조금 알려주실분 부탁드립니다.
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조회 |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게시판 이용 안내+143 | 10-20 | 19721 | |
59669 | 11:21 | 103 | ||
59668 | 10:41 | 59 | ||
59667 | 09:45 | 108 | ||
59666 | 07:42 | 112 | ||
59665 | 07:41 | 77 | ||
59664 | 01:53 | 179 | ||
59663 | 01:37 | 122 | ||
59662 | 01:11 | 160 | ||
59661 | 05-09 | 268 | ||
59660 | 05-09 | 158 | ||
59659 | 05-09 | 179 | ||
59658 | 05-09 | 178 | ||
59657 | 05-09 | 246 | ||
59656 | 05-09 | 175 | ||
59655 | 05-09 | 189 | ||
59654 | 05-09 | 201 | ||
59653 | 05-09 | 216 | ||
59652 | 05-09 | 238 | ||
59651 | 05-09 | 202 |
댓글1
while True:
matchvalue = img.imagematchingNW(Hwnd, 6, 91, 304, 341, "image\\캐릭위치.png") # client 영역
if matchvalue.minval == 0:
if 102 <= matchvalue.vx <= 152 and 243 <= matchvalue.vy <= 265:
pyautogui.keyDown('right')
pyautogui.keyDown('alt')
time.sleep(1)
pyautogui.keyUp('alt')
pyautogui.keyUp('right')
elif 153 <= matchvalue.vx <= 179 and 243 <= matchvalue.vy <= 253:
pyautogui.keyDown('right')
pyautogui.keyDown('up')
time.sleep(1)
pyautogui.keyUp('up')
pyautogui.keyUp('right')
옛날에 매크로 만들어 봣던 방식 ..... 이미지 기반으로도 해봄 직관적이고 이미지 인식하는데 0.05초 안쪽이였던걸로기억함...
공부자료나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실분 ..?